임플란트는 60대 이상이 받는 치과 치료라고 대부분 생각한다. 실제로 고령층 환자가 많은 건 사실이지만 최근에는 20~30대도 늘고 있다. 스트레스와 피로로 인한 치주질환, 갑작스러운 사고 등의 이유 때문이다.
임플란트란 상실되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치아를 대신해 자연치와 거의 유사한 보철물을 식립하는 치료를 말한다. 자연치아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데다 모양과 색상도 자연스러워 치아과 구별하기 어렵다.
또한 치아를 잃으면 치아를 지탱하던 잇몸뼈도 녹아내리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면 본체와 잇몸뼈가 유착돼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서울플러스치과(성남) 박연준 원장[사진]은 이처럼 장점이 많은 임플란트지만 치과 선택시에는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임플란트 치료 전 3D CT(컴퓨터단층촬영) 등 첨단 장비 보유 여부, 의료진 경력 등을 확인해야 한다. 이는 잇몸뼈에 보철물을 심어야 하는 만큼, 기본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시술이기 때문이다. 만약 첨단 장비를 통해 검사가 부족하거나 의료진 경력이 적다면 임플란트 주위염, 턱 통증, 보철물 손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해 임플란트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박 원장은 임플란트 치료 종류도 알아두라고 조언한다. 방문하려는 병원에서 어떤 임플란트 치료를 하는지 파악해 두면 자신에 필요한 치료를 찾기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임플란트 시술의 종류로는 우선 무절개 임플란트가 있다. 임플란트는 잇몸 절개 후에 치료하는게 일반적인데 고령환자나 면역력이 낮은 환자는 잇몸 염증 반응을 걱정하게 된다.
이러한 환자를 위한 치료가 바로 무절개 임플란트다. 잇몸 절개없이 시술에 필요한 만큼의 구멍만을 뚫는다. 덕분에 잇몸 염증, 출혈, 통증 등의 걱정을 줄일 수 있고 회복기간도 단축된다.
다음은 뼈 이식 임플란트다. 잇몸 뼈가 부족하거나 약해서 임플란트 치료가 어려운 환자를 위한 치료법이다. 자신의 신체 부위의 뼈 혹은 치아를 이용하는 자가골 이식, 다른 사람의 뼈 조직을 받는 동종골 이식, 동물의 뼈 조직으로 이식하는 이종골 이식, 인공으로 만든 뼈를 사용하는 합성골 이식 등, 개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뼈를 이식한 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한다.
이밖에도 치아의 대부분을 잃은 환자를 위한 전체 임플란트, 하루 만에 치아의 기능을 되찾도록 도와주는 당일 임플란트 등이 있다.
시술이 무사히 끝났다면 잇몸과 치아를 안전하게 회복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임플란트 주의사항에 따라 관리를 해야 한다. 즉 △시술 후 당일 침 뱉지 않기 △딱딱한 음식,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식사하기 △금주와 금연 △정기적인 치과 검진받기 등이다.
박 원장은 “임플란트가 고령환자의 치료라고 기피하거나 비용 부담을 이유로 미루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치아가 빠진 상태가 오래되면 음식을 씹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잇몸뼈가 녹아내려 턱과 얼굴의 균형이 무너질 위험이 있다"며 "치아가 빠졌거나 심하게 흔들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면 되도록 빨리 치과에서 검사 및 필요한 임플란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ift.tt/2KypIwp
건강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젊은 층도 많이하는 임플란트 치료 전 필독사항 - 메디칼트리뷴"
Post a Comment